본문 바로가기
연령별 복지 혜택

2025년 출산하면 받을 수 있는 돈 총정리

by 따뜻한손 2025. 4. 8.

 

 

2025년 출산하면 받을 수 있는 돈 총정리

아이를 낳으면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? 2025년에는 출산 및 육아 관련 지원금이 확대되며, 정부와 지자체가 다양한 방식으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출산 시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과 복지 혜택을 정리해드립니다.

 

2025 출산혜택
2025 출산혜택 총정리

 

1. 첫만남이용권

  • 지원 내용: 출생아 1인당 200만 원
  • 지급 방식: 국민행복카드에 바우처 형태로 지급
  • 사용 기한: 출생일로부터 1년간
  • 사용처: 유아용품, 병원비, 교육비 등 출산·육아 관련 항목

 

2. 부모급여

  • 지원 대상: 만 0세 및 1세 아동의 부모
  • 지원 금액 (2025년):
    • 만 0세 아동: 월 100만 원
    • 만 1세 아동: 월 50만 원
  • 지급 기간: 최대 24개월간 지급

 

3. 육아휴직급여

  • 지원 대상: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 중 육아휴직 사용자
  • 변경 사항 (2025년):
    • 첫 3개월: 월 최대 250만 원
    • 4~6개월: 월 최대 200만 원
    • 7개월 이후: 월 최대 160만 원
  • 기타: 사후지급금 제도 폐지 → 월별 직접 지급

 

4. 지자체 출산지원금

거주 지역에 따라 추가적인 출산지원금이 제공됩니다. 예를 들어:

  • 서울 금천구: 셋째 70만 원, 넷째 이상 100만 원
  • 강원도 평창군: 최대 3,000만 원까지 지급

지자체별로 금액, 지급 조건, 신청 방식이 다르므로, 관할 시·군·구청 또는 읍·면·동 주민센터에서 확인이 필요합니다.

 

요약 정리

항목 지원 금액 지급 조건
첫만남이용권 200만 원 출생아 전원
부모급여 0세 월 100만 원
1세 월 50만 원
24개월간 지급
육아휴직급여 최대 월 250만 원 육아휴직 중 고용보험 가입자
지자체 지원금 지역별 상이 (수십~수천만 원) 관할 지자체 확인

 

 

2025년 출산복지 제도는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,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방향으로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. 출산을 준비 중이거나 자녀가 있는 가정이라면 꼭 챙겨보시기 바랍니다.